728x90
반응형
코드리뷰의 목적(이점)
- 지식을 공유
- 책임을 공유
- 코드 구조 개선
위와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코드 리뷰는 단지 하나의 도구에 불과하다는 점을 잊지말아야 한다. 만약 위와 같은 이점을 지니면서도 더 나은 방법이 있다면 도구를 교체해야 한다.
Mob Programming
- Mob Programming 이란 모든 팀 멤버들이 한 스크린 앞에서 같은 시간에 코드를 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 한 세션에 한 사람이 운전수가 되어, 타입하고 클릭하는 역할을 맡는다.
- 방향자(navigator)는 주의를 기울이며 3 분 정도 코드의 방향성에 대해 지시한다.(목적 정의 및 코드의 방향 제시)
- 팀의 다른 사람들은 주의를 기울이며 이를 주의깊게 살피고 방향자가 제대로된 방향으로 지시하는지를 함께 살펴본다.
- 방향자를 3분 마다 로테이션 하며 3-4시간 정도 반복한다.
코드 리뷰의 목적을 만족시키며 시간을 줄이다.
- 코드 리뷰는 코드를 통해 함께 지식을 공유하고 코드를 개선하여 배움을 이어나가기 위함이다.
- Mob Programming의 경우 지식을 즉각적으로 공유하기 때문에 시간을 줄이면서도 위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다.
- 코드 구조에 대한 이해가 같기 때문에 타인의 코드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배움도 이어나갈 수 있는 것이다.
시행착오를 충분히 겪기
- Mob Programming은 분명 시행착오를 필요로 한다.
- 그러나 첫 몇 주가 지나고 나면 매우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다.
- 전문가를 두고 문제가 일어날 때 즉각적으로 고치면서 코드에 대한 이해를 같이 이어나갈 수 있다.
Mob의 요구사항
- 팀의 모두를 위한 프로그래밍 기법이다.
- Mob은 좋은 대화 스킬을 기를 수 있게한다.
- 거만함이 없고, 수동적 공격 성향을 가지지 않는다.
- 즉, 누구보다 낫고 누구보다 덜함이 없이 함께 코드를 작성하며 성장해나가는 것이다.
- 코드 리뷰 시, 피드백에 걸리는 시간을 줄이고 코드 개선을 해내는 것 이것이 Mob Programming 이다.
생각 정리...
시니어 개발자에게는 답답함은 주니어 개발자 에게는 두려움을 선사할수 도 있는 방식 이지만
어떤 통계에 따르면 작업 처리 시간이 15% 증가하였지만 결함은 15% 감소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적절하게 몹 프로그래밍을 도입한다면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며 더 나은 코드를 만들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참고자료 :
https://velog.io/@jungedlin/Mob-Programming
코드 리뷰 대신, 몹 프로그래밍
코드 리뷰와 몹 프로그래밍을 비교합니다. 코드리뷰의 단점은 피드백 시간이 오래걸리고, 코드 구조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인데요. 함께 코드를 작성하며 코드 리뷰의 단점을 극복
velog.io
https://kihoonkim.github.io/2018/01/01/Agile/pair-programming/
페어 프로그래밍이란 무엇 일까?
대화를 통해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는 방법 우리팀(ACT)에서는 개발자뿐만 아니라 PM, CX등 모든 역할자가 Pair로 일을 한다. 그래서 Pair Programming보다는 Pairing 이라는 용어로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kihoonkim.github.io
728x90
반응형
'준비하기 > 메모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모] 무료 개발 도구 사이트 (0) | 2023.10.19 |
---|---|
개발서적 사이트 - 위키독스 (2) | 2022.09.23 |
문자/문서 비교하는 사이트 (1) | 2022.09.23 |
JSON Crack (0) | 2022.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