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놀리식 아키텍처 (Monolithic Architecture) 란? 모놀리식 아키텍처는 마이크로서비스(MSA) 아키텍처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구성 요소가 한 프로젝트에 통합되어 있는 형태를 말한다. 모놀리식 아키텍처 (Monolithic Architecture) 장점 개발 초기에 단순한 아키텍처 구조로 인해 개발에 용이하다. 어떤 서비스든지 개발되어 있는 환경이 같아서 복잡하지 않다. 배포가 간단하다. 확장성이 쉽다. 로드밸런스를 이용하여 로드 부하를 나눠 가지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쉽게 고가용성 서버 환경을 만들 수 있다. End-to-End 테스트가 용이하다. 모놀리식 아키텍처 (Monolithic Architecture) 단점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구동 시..
분류 전체보기
·SQL
기본 문법 SELECT COUNT('컬럼명') FROM 테이블 명 COUNT() 함수 사용 예시 SELECT COUNT(*) --전체 ROW 수 , COUNT(USER_NAME) -- USER_NAME 수 COUNT FROM USER
·Git
Protected Banch란? 어떤 브랜치를 어떤 행위에 대해서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다. 예를 들어 우리의 소중한 마스터 브랜치는 언제나 잘 작동하는 올바른 코드가 올라가야 할 것이다. 이 원칙을 지키기 위해 마스터 브랜치에는 항상 올바른 커밋 혹은 머지가 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브랜치를 보호하기 위해서 브랜치들에 대해 protection rule들을 설정 해 줄 수 있다. pull을 받으려고 하는 경우 permission 에러 발생 처음 GitLab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master brach는 디폴트로 proteced 상태이다. 대개 프로젝트 생성후 초기에 브랜치 보호를 해제하지 않고 멤버가 master branch를 pull 또는 push 하려는 경우 발생한다. 에러 발생 원인 먼저 ..
Spring은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다양한 의존성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 방법을 제공한다. 의존성 주입을 해야 하는 이유 Test가 용이해진다.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준다. 객체 간의 의존성(종속성)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면서 유연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의존성 주입의 3가지 방법 생성자 주입(Constructor Injection) 필드 주입(Field Injection) 수정자 주입(Setter Injection) Spring Framwork reference에서 권장하는 방법은 생성자를 통한 주입 이다. 생성자 주입을 권장하는 이유 순환 참조를 방지할 수 있다. 불변성(Immutability) 테스트에 용이하다. 참고자료..